감사5 에베소서 5:3~4 [엡5:3-4]3 음행과 온갖 더러운 것과 탐욕은 너희 중에서 그 이름조차도 부르지 말라 이는 성도에게 마땅한 바니라4 누추함과 어리석은 말이나 희롱의 말이 마땅치 아니하니 오히려 감사하는 말을 하라'음행과 온갖 더러운 것과 탐욕은 너희 중에서 그 이름조차도 부르지 말라 이는 성도에게 마땅한 바니라'음행이란 성경에서는 크게 두 가지 의미로 사용이 되었습니다. 하나는 하나님과 그의 백성과의 관계에서 은유적인 표현입니다. 그것은 하나님을 믿음의 그의 백성으로 살겠다고 약속한 이스라엘 백성들이 실상은 온갖 종류의 이방신들을 믿으며 살아가는 것입니다. 이것은 비단 여러 종교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아닙니다.하나님을 믿으며 하나님의 말씀으로 살아야 하는 사람들이 하나님이 원하시는 삶이 아니라 세상 욕심으로 가득한 .. 2025. 9. 4. 에베소서 3:9~13 [엡3:9-13]9 영원부터 만물을 창조하신 하나님 속에 감추어졌던 비밀의 경륜이 어떠한 것을 드러내게 하려 하심이라10 이는 이제 교회로 말미암아 하늘에 있는 통치자들과 권세들에게 하나님의 각종 지혜를 알게 하려 하심이니11 곧 영원부터 우리 주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예정하신 뜻대로 하신 것이라12 우리가 그 안에서 그를 믿음으로 말미암아 담대함과 확신을 가지고 하나님께 나아감을 얻느니라13 그러므로 너희에게 구하노니 너희를 위한 나의 여러 환난에 대하여 낙심하지 말라 이는 너희의 영광이니라 바울은 하나님께서 지극히 작은 자 보다 더 작은 자신에게 은혜를 주신 이유에 대해서 말하고 있습니다. 영원부터[αἰών(아이온) 지나간 시간으로 태초 혹은 영원, 앞으로 다가올 시간으로써 영원 - 본문에서.. 2025. 7. 25. 에베소서 1:15~16 [엡1:15-16절]15 이로 말미암아 주 예수 안에서 너희 믿음과 모든 성도를 향한 사랑을 나도 듣고16 내가 기도할 때에 기억하며 너희로 말미암아 감사하기를 그치지 아니하고3절에서 14절은 한나의 문장으로 바울이 하나님을 찬양할 수밖에 없는 이유, 하나님께 감사할 수 밖에 없는 이유가 담긴 찬양입니다. 비록 바울은 가택에 구금되어 있는 상황이지만 주어진 현실을 넘어서 하나님을 찬양할 수 밖에 없는 이유가 있었던 것입니다.그리고 오늘 말씀은 여전히 바울의 현실은 매여 있는 상황이지만 감사해하는 또 다른 이유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것은 주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행했던 교회 공동체의 믿음과 성도를 향한 사랑입니다. 바울은 바울이 전했던 복음으로 말미암아 세워진 교회 공동체가 믿음으로 서가고 서로를 사랑하.. 2025. 7. 11. 골로새서 4:2 [골4:2-4]2 기도를 계속하고 기도에 감사함으로 깨어 있으라골로새교회를 향한 바울의 마지막 권면입니다. 먼저는 기도에 대한 권면입니다.기도를 계속하라는 권면입니다. 여기에서 계속하다는 의미는 *προσκαρτερέω(프로스카르테레오)* 라는 단어로 꾸준히 하다, 대기하다, 전념하다, 계속하다 등의 의미가 있습니다. 기도에 감사함으로 깨어 있으라고도 권면합니다. 번역된 문장이 그렇게 자연스럽게 보이지는 않습니다. 이 문장에서 ‘~에’ 해당하는 헬라어는 *ἐν(엔)* 이라는 전치사로 ~안에, ~앞에, ~하는 동안, ~하는 때에 등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 단어는 본문에 ‘감사함으로’에서 ‘~으로’라는 부분에도 사용되었습니다. 그러므로 기도하는 중에, 기도하는 때에, 기도하는 가운데(기도 안에 들어가 있는.. 2025. 6. 16. 골로새서 3:15~17 b [골3:15-17] 15 그리스도의 평강이 너희 마음을 주장하게 하라 너희는 평강을 위하여 한 몸으로 부르심을 받았나니 너희는 또한 감사하는 자가 되라 16 그리스도의 말씀이 너희 속에 풍성히 거하여 모든 지혜로 피차 가르치며 권면하고 시와 찬송과 신령한 노래를 부르며 감사하는 마음으로 하나님을 찬양하고 17 또 무엇을 하든지 말에나 일에나 다 주 예수의 이름으로 하고 그를 힘입어 하나님 아버지께 감사하라 15절에서 17절까지 말씀에서 특징적인 단어 하나를 발견합니다. 바로 ‘감사’ 입니다. 각 절에 한 번씩 사용되고 있습니다. 감사는 ‘고맙게 여기는 마음‘ 이라는 의미를 지닌 말입니다. 또 그런 마음을 담은 인사로도 사용합니다. 저는 글로써 대화를 할 때 대부분 대화를 마칠 때 ‘감사합니다.. 2025. 6. 6.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