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1:14-19]
14 하나님이 이르시되 하늘의 궁창에 광명체들이 있어 낮과 밤을 나뉘게 하고 그것들로 징조와 계절과 날과 해를 이루게 하라
15 또 광명체들이 하늘의 궁창에 있어 땅을 비추라 하시니 그대로 되니라
16 하나님이 두 큰 광명체를 만드사 큰 광명체로 낮을 주관하게 하시고 작은 광명체로 밤을 주관하게 하시며 또 별들을 만드시고
17 하나님이 그것들을 하늘의 궁창에 두어 땅을 비추게 하시며
18 낮과 밤을 주관하게 하시고 빛과 어둠을 나뉘게 하시니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
19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넷째 날이니라

하나님께서 세상을 창조하신 넷째 날에 대한 기록입니다.
하나님은 하늘의 궁창에 광명체들을 만드셨습니다. 그리고 그것으로 밤과 낮을 나뉘게 하였고 징조와 계절과 날과 해를 이루게 했습니다.
이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광명체’라는 것을 만드셨습니다. 광명체는 [מָאֹר(마오르)]라는 것으로 빛을 내는 것입니다. 등잔의 의미를 갖고 있기도 합니다. 즉, 하늘에 빛을 내는 것들을 만드셨습니다. 그리고 그것이 밤과 낮을 나뉘게 했습니다.
이것은 우리의 입장에서 태양과 달과 별이라 부르는 것들을 만드셨다는 의미입니다. 큰 광명체가 태양을 의미하고 작은 광명체가 달을 의미합니다. 고대 사회에서는 지구의 자전이나 공전과 같은 것에 대한 지식이 없었습니다.
지구는 평평하고 네모난 판과 같은 것이라 생각을 했고 아침이 되면 큰 광명체인 태양이 궁창 위로 떠올라 낮을 주관하고 저녁이 되면 큰 광명체는 물러가고 달이 떠 올라 밤을 주관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와 같은 관점에서 태양이나 달은 낮과 밤을 주관[מֶמְשָׁלָה(멤샬라) 통치, 지배, 다스림]한다고 기록했습니다. 사실은 지구가 자전하면서 태양을 볼 수 있는 위치에 있는 때가 낮이며 태양을 볼 수 없는 위치, 태양의 반대편은 그늘이 지면서 어두워집니다. 그러나 그 태양의 빛은 지구의 위성인 달에 닿고 그것에 반사되어 우리의 눈에 밤에 달이 뜨는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은 초등학생도 아는 상식입니다.
그리고 그 광명체들을 통해 밤과 낮, 징조와 계절과 날과 해를 이루게 하셨습니다.
징조는 [אוֹת(오트)]라는 단어로 신호나 표적 등의 의미가 있습니다. 이를테면 윌식이나 일식과 같은 현상들을 의미합니다. 고대사회에서 한낮에 태양이 달에 의해서 가려진다거나 하는 현상은 매우 불안하고 두려운 징조로 바라보기도 했습니다. 오늘날에는 그것이 우주현상 또는 우주쑈라고 생각합니다. 저의 기억에도 그런 순간에는 셀로판지를 가지고 일식을 관찰했었습니다.
그리고 계절과 날과 해를 이루게 했는데 그것은 지구가 태양의 주위를 공전하면서 나타나는 지구 환경의 변화입니다.
그러나 고대사회에서 세상은 평평하고 그 위에 하늘이 덮여 있었다고 믿었기 때문에 태양과 달이 뜨고 지는 것, 계절의 변화는 모두 신의 조화 또는 직접적인 개입이라고 믿었습니다. 메소포타미아의 고대 이집트 시대에는 태양의 신 라가 하늘을 가로질러 날아가는 경로가 달라지거나 그 높이가 달라짐으로 계절이 변했다고 믿었습니다.
성경적인 세계관에서는 하나님께서 오늘 말씀에서처럼 직접 시간과 계절을 설계하고 그 법칙에 따라 운행되게 했다고 믿는 것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고대사회에서 지구의 공전과 자전은 종교적으로 꽤 심각한 문제로 받아들이기도 했습니다.
말씀을 보면 하나님께서 이 광명체들을 만드셨는데 그것들의 운행에 따라 징조가 되게 하셨습니다.
잠시 묵상해 보겠습니다. 하나님은 이 별들의 운행이 징조가 되게 하셨는데 사람들도 이 별들을 보며 징조로 삼았습니다.
그래서 고대 사회에서는 밤하늘의 별들의 위치와 변화를 보면서 수많은 상상력을 통한 이야기들을 만들어내고 그것으로 이 세상과 삶에 대한 다양한 예측들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점성술이 대표적인 것입니다.
징조를 바라보고 해석하는 일들이 있었습니다. 이를테면 일식은 매우 불길한 징조로 받아들여졌습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아무도 일식을 어떤 신적계시나 징조로 보지 않습니다. 자연 현상으로 봅니다.
저마다 징조를 바라보고 해석하는 데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 넷째 날의 창조의 기사를 바라보며 무엇을 발견할 수 있을까요?
저는 이 우주를 창조하신 하나님의 상상할 수 없는 광대하심을 발견합니다. 말씀에 광명체를 만드셨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그중에 ‘별’들을 만드셨다고 말씀하십니다. 별은 [כּוֹכָב(코카브)]로 우리가 생각하는 그 별의 의미가 맞습니다.
그런데 밤하늘의 별을 바라보신 적이 있으십니까? 별들이 쏟아질 것처럼 많은 밤하늘을 보신적이 있습니까?
그 빛나는 별 하나는 오늘 본문에서 말하는 것 처럼 대부분 광명체입니다. 태양이나 시리우스, 베텔게우스처럼 핵융합에서 생긴 빛과 열을 발하는 별들입니다.
태양계 밖에서 우리가 사는 태양계를 바라본다면 태양계에는 별이 하나뿐인 것입니다. 태양 하나 뿐입니다. 태양만 빛을 발하고 있기에 우리 지구는 태양에 반사되어 잠깐 보이거나 어두운 우주 공간의 그림자에 갇혀 보이지 않는 것 입니다.
이것을 뒤집으면 그 반짝이는 작은 별 하나가 태양과 같은 것이며 그 속에는 보이지 않는 빛을 발하지 않는 행성들은 더 많다는 것 입니다. 하나님이 창조하신 세계가 얼마나 크고 광대한지 ‘상상력’이라는 단어가 부족해 보입니다.
하나님은 그 광대한 우주 공간에 지구별을 만드셨고 지구에서 경험하는 낮과 밤, 계절과 때를 보시며 보시기에 좋았더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예수님은 그 지구별 속에 셀 수도 없는 수많은 사람들 중에 나 한 사람, 여러분 한 사람을 만나기 위해 우리의 삶으로 걸어 들어오셨고 이 광대한 우주를 창조하신 그분이 우리의 죄와 수치, 부끄러움을 모두 뒤집어쓰시고 피조물에게 수치와 모욕을 당하시면서 죽으셨습니다.
모든 것은 그 아무것도 아닌 우주 먼지 같은 우리 한 사람을 사랑하시기 때문입니다.
[묵상을 위한 질문]
1. 하나님이 창조하신 장엄한 세계를 생각해 보신 일이 있으십니까?
2. 일상의 삶을 여러분은 보통 어떤 관점을 자주 보시는 것 같습니까?(예 긍정, 부정, 신앙, 일반)
3. 여러분이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이나 시선에 변화가 필요하다면 어떤 부분입니까? 어떤 시각을 가지고 싶으십니까?
'묵상 > 창세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말씀묵상] 창세기 1:24~31 사람을 창조하시다 (0) | 2025.10.23 |
|---|---|
| [말씀묵상] 창세기 1:20~23 생물을 창조하시다 (0) | 2025.10.22 |
| [말씀묵상] 창세기 1:9-13 각기 종류대로 식물을 내시니 (0) | 2025.10.20 |
| [말씀묵상] 창세기 1:6~8 창조신앙 (0) | 2025.10.18 |
| [말씀묵상] 창세기 1:2~5 빛과 어둠을 나누사 (0) | 2025.10.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