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1:20-23]
20 하나님이 이르시되 물들은 생물을 번성하게 하라 땅 위 하늘의 궁창에는 새가 날으라 하시고
21 하나님이 큰 바다 짐승들과 물에서 번성하여 움직이는 모든 생물을 그 종류대로, 날개 있는 모든 새를 그 종류대로 창조하시니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
22 하나님이 그들에게 복을 주시며 이르시되 생육하고 번성하여 여러 바닷물에 충만하라 새들도 땅에 번성하라 하시니라
23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다섯째 날이니라

하나님께서 세상을 창조하신 다섯째 날에 대한 기록입니다.
하나님은 둘째 날 물을 한 곳으로 모아 바다를 만들고 그렇게 됨으로써 드러난 대륙과 바다를 구분하셨습니다.
셋째 날에 드러난 대륙에 씨 맺는 식물들을 종류대로 만드셨습니다.
그리고 다섯째 날에 바닷속에 해양 동물들을 만드셨습니다. 그리고 하늘에도 땅에 기초를 두었지만 하늘을 날아다니는 각종 날개 있는 동물들을 만드셨습니다.
하나님은 이 모든 것이 보시기에 좋았다고 하십니다. 그리고 그들에게 복을 주어 생육하고 번성하였습니다. 그 말씀대로 이루어졌습니다.
지금 묵상하고 있는 본문은 하나님께서 세상을 창조하신 내용에 대한 기록입니다. 그런데 1절을 제외하고 처음으로 21절에서 ‘창조’라는 단어가 등장합니다. 우리말로 번역된 모든 번역번 성경도 다 동일하게 ‘창조’라는 단어로 번역되어 있습니다.
창조[בָּרָא(바라)]라는 단어는 새기다, 조각하다, 창조하다, 생산하다, 아이를 낳다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창조주가 새기고 조각하고 생산하고 만들었다는 의미입니다. 물론, 다른 앞전에 있었던 빛과 광명과 별들과 식물들은 창조된 것이 아니라는 의미는 아닙니다. 모든 것이 하나님이 말씀하시니 그대로 구현된 것입니다.
그러나 21절에는 ‘창조’라는 표현이 사용되었습니다. 그리고 사람을 창조하실 때에도 ‘창조’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것을 구분하는 것이 큰 의미는 없을 수 있으나 잠시 묵상해 보면 피가 흐르고 생명을 가진 생명체에 대해서 성경은 ‘창조’라는 말로 기록했습니다.
그것은 어떤 의미로 살아있고 숨시며 피가 흐르는 모든 생명의 주인은 창조주 하나님이라 말씀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누군가는 이와 같은 말씀에 대해서 ‘창조론’이 맞느냐? ‘진화론’이 맞느냐와 같은 주제로 논쟁을 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저는 이 말씀에서 모든 생명의 주인은 하나님이시라는 것이 더 중요하게 여겨집니다. 하나님은 생명의 주인이시며, 그 생명이 하나님이 창조하신 모든 공간 바다와 땅과 하늘에 충만한 것을 기뻐하시는 분입니다. 그것은 넓게는 세상의 모든 생명체가 그 생명을 이어가기를 기뻐하시는 것이며 좁게는 우리 한 사람이 생명으로 충만한 삶을 살아가는 것을 기뻐하시는 것입니다.
그리고 또 특별해 보이는 구절은 하나님이 그들에게 ‘복’을 주셨다는 것 입니다. 모든 살아서 숨 쉬는 존재들에게 복을 주셨습니다. 그런데 여기에서 우리말로 ‘복’이라 번역된 단어는 예상외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복’이란 [בָּרַךְ(바라크)]라는 단어인데 그 의미는 ‘무릎을 꿇다’ 입니다. 전혀 다른 의미입니다. 그런데 왜 우리말 성경은 이것을 ‘복’으로 번역한 것일까요? 모든 종류의 우리말 성경도 다 ‘복’으로 번역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이렇습니다. 성경에서 말하는 복은 몇 가지가 있지만 그중에 가장 핵심적인 의미는 ‘관계적 복’입니다. 바라크 즉, 무릎을 꿇다는 것은 존경과 경배, 그리고 겸손함으로 엎드린다는 의미로 ‘경외’를 표현하는 몸짓입니다.
이것은 창조주 하나님께 경배와 찬양을 드린다는 의미입니다. 하나님은 모든 생명의 주인이시기에 그 모든 생명에 대해서 축복을 부여하시고 또 반대로 하나님의 축복을 받는 존재는 하나님께 경배와 찬양을 드리는 관계 이것이 ‘복’입니다.
하나님을 이해하는 모델인 가정의 모델로 이 관계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어떤 것이 복된 가정이겠습니까? 돈이 많고 사업에 성공한 가정이 복된 가정일까요? 그렇다고 말할 수 있지만 그 많은 돈 때문에 형제들 간에 시기와 다툼이 일어난다면 어떨까요? 성공은 했지만 부모와 자녀의 사이가 단절된 가정이라면 그것이 복된 가정일까요?
복된 가정이란 물질의 많고 적음을 떠나서 부모와 자녀사이에 사랑이 있는 가정일 것입니다. 부모는 자녀를 사랑하고 자녀는 부모를 공경하고 서로 함께 운명공동체로써 살아가는 가정이 바로 복된 가정입니다.
복이라는 것이 그런 것 입니다. 하나님으로부터 생명을 부여받은 우리는 생명의 주인 되신 하나님께 경배와 찬송을 드리고 하나님은 그것을 받으시며 우리를 향한 은혜와 사랑을 부어주시는 그 관계가 참된 복인 것입니다.
[묵상을 위한 질문]
1. 최근 삶에서 느끼는 본인의 삶에 대해 ‘생명력’을 평가해 본다면 어느 정도이며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2. 성경에서 말하는 복, 하나님의 임재와 은총 속에 머무는 상태에 머물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입니까?
'묵상 > 창세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말씀묵상] 창세기 1:31 보시기에 좋았더라 (0) | 2025.10.24 |
|---|---|
| [말씀묵상] 창세기 1:24~31 사람을 창조하시다 (0) | 2025.10.23 |
| [말씀묵상] 창세기 1:14~19 광명체를 만드사 (0) | 2025.10.21 |
| [말씀묵상] 창세기 1:9-13 각기 종류대로 식물을 내시니 (0) | 2025.10.20 |
| [말씀묵상] 창세기 1:6~8 창조신앙 (0) | 2025.10.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