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커피

커피의 이름에 담긴 정보들

by 기대어 보기를 2023. 1. 16.

커피전문점에 가보면 커피 메뉴뿐만 아니라 커피의 종류 또한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가 원두를 주문하려고 해도 각 지역별로 정말 많은 종류 혹은 이름의 커피 원두가 판매가 된다. 그렇기 때문에 어떤 커피를 골라야 하는지 선택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어쩌면 ‘에티오피아’ 혹은 ‘예가체프’, ‘블루마운틴’, ‘케냐’, ‘코나’ 정도의 이름을 들어 보셨을지 모르겠다. 혹 커피 애호가라면 ‘게이샤’나 ‘아리차’와 같은 이름도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커피는 훨씬 많은 종류가 있고 다양한 이름이 붙어 있다. 그렇다면 여기에서 궁금증이 생긴다. 왜 커피의 종류는 이렇게 많은 것일까? 커피의 이름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것일까?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커피의 이름에 대해서 소개해 보려 한다.

 

일반적으로 커피의 이름이 만들어질 때에는 그 이름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있다. 그것은 그 커피가 어디에서 생산된 커피인지에 대한 정보가 들어간다. 여기에서 커피의 생산지는 크게는 나라, 지역을 말하며 작게는 농장 이름이다. 또 커피의 이름에는 커피가 출하되어 수출되는 지역의 항구 이름, 커피의 모양이나 형태, 그리고 커피의 재배 혹은 공정 과정 등에 대한 정보이다. 그러므로 커피의 이름만 잘 알아도 우리는 그 커피에 대해서 상당한 정보를 알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은 경우이다.

‘에티오피아 이르가체페(예가체프) G2’라는 커피가 있다. 이 커피 이름은 커피가 생산된 지역과 커피의 등급에 대한 정보가 담겨 있다. 에티오피아 이르가체페, 이르가체페라고도 하고 예가체프라고도 하는 이 커피는 에티오피아의 이르가체페라는 지역에서 생산된 커피를 의미한다. 이르가체페는 에티오피아 중남구의 해발 2,500m에 이르는 고원지대이다. 커피가 처음 발견된 곳으로 알려진 곳이다. 이곳이 에티오피아 커피 수출의 절반 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엄청난 지역이며 이곳의 자연은 커피가 숲을 이루고 있는 곳이다. G2라는 것은 커피의 등급을 의미한다.

 

Unsplash 의 Patrick Tomasso

 

‘에티오피아 시다모 산타 웨네 내추럴 G1’이라는 커피가 있다.

이 커피의 이름에는 더 다양한 정보가 들어가 있다. 이 커피는 에티오피아의 시다모라는 지역의 산타 웨네라는 지역에서 생산된 커피이다. 그리고 이 커피는 내추럴 방식 즉, 커피 체리를 건조대에 올려놓고 말린 방식이 사용된 커피이고 등급은 G1 등급이다.

 

커피 등급에 대해서 잠깐 언급하면 커피의 등급은 다양한 방식으로 부여된다. 커피의 상태, 품질, 모양, 크기 등에 따라 등급이 부여되기도 하고 커피가 생산될 때의 상태 이를테면 결점두의 양 등에 따라 등급이 부여된다. 에티오피아 지역의 커피에는 G(Grade)를 사용하는데 G1 ~ G8까지 분류된다. 이 방식은 커피콩의 상태에 따른 분류가 아니라 350g의 커피 안에 결점두가 얼마나 있느냐에 따른 등급이다. G1이 가장 높은 등급이며 이 등급에는 결점두가 가장 적은 그만큼 선별이 잘된 커피라는 의미이며 그만큼 커피의 맛과 향이 균일하고 결점두에 의한 부정적인 영향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번에는 다른 지역의 커피 이름을 한번 보자.

‘과테말라 엘 소코로 옐로우 카투라’

이 커피의 이름에는 커피의 생산지와 커피의 종류가 들어가 있다. 이 커피는 과테말라라는 지역의 엘 소코로라는 농장에서 생산된 커피이다. 옐로우 카투라는 이 커피의 품종이다.

 

커피의 이름을 몇 개 더 살펴보자.

브라질(생산지역) 시티오 산토 익스페디토(농장이름) 펄프드 네츄럴(프로세싱방식) 마이크로랏(등급)’

엘살바도르(생산지역) SHG EP(등급) 핀카 라 에스메랄다(농장이름) 허니 버번(커피품종)’

과테말라(생산지역) 라스 마카다미아스(농장이름) 내추럴(프로세싱방식)’

케냐(생산지) 카게레(조합명) AA TOP 마이크로랏(등급)’

코스타리카 따라주(생산지역) 재규어(농장이름) 허니(프로세싱방식)’

르완다(생산지역) 란데코(농장이름) 워시드(프로세싱방식)’

 

이처럼 커피의 이름은 그 커피가 어디에서 생산되었는지 심지어 어느 농장, 어떤 조합에서 생산된 것인지 그리고 그 커피의 생산에 사용된 방식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 품종과 모양, 크기 등에 대한 정보들이 들어가 있다. 그리고 이런 정보들은 커피의 맛과 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정보들이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커피의 등급에 대해서 살펴보겠다.

 

728x90
반응형

댓글